- 책머리에
- 서 / 오늘, 우리가 비평사를 연구하는 이유
[1] 1부
1. 1930년대 후반의 비평사 연구 동향 1 : 카프 해소.비해소파 논쟁을 중심으로
2. 제2장 1930년대 후반의 비평사 연구 동향 2 : 근대성 논의를 중심으로
[2] 2부
· · · · · ·
(
更多)
- 책머리에
- 서 / 오늘, 우리가 비평사를 연구하는 이유
[1] 1부
1. 1930년대 후반의 비평사 연구 동향 1 : 카프 해소.비해소파 논쟁을 중심으로
2. 제2장 1930년대 후반의 비평사 연구 동향 2 : 근대성 논의를 중심으로
[2] 2부
1. 카프의 비평사적 위치
2. 제4장 한국 근대비평사를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 : 리얼리즘론과 관련하여
3. '1930년대 후반'의 의미와 '<물> 논쟁'
[3] 3부
1. 분열된 주체의 지양을 향한 열망과 절망 : 김남천
2. 태도의 미학과 주체 통합에의 모색 : 최재서
3. 문학의 현실 반영과 의식의 능동성 : 안함광
4. 주체 재건을 향한 도정과 실천으로서의 리얼리즘 : 임화
5. 근대에 대한 옹호 또는 파시즘과 비판적 거리 두기 : 김기림
6. 결 / 일제 파시즘에 직면한 한국의 근대비평 : 1930년대 후반 한국 근대문학비평
- 한국 근대문학비평사 연표 (1930~1940)
· · · · · · (
收起)
还没人写过短评呢